Python의 기본 자료형


프로그래밍을 공부하다 보면 항상 첫번째로 나오는것이 자료형인거 같습니다.

자료형만 자유롭게 쓸 수 있다면, 그 언어의 기본이상을 하는거죠.


사실 python의 경우 자료형이 기본 C, Java와 비슷하면서도 큰 차별점이 있습니다.


기본 자료형의 종류


1. 숫자형

2. 문자열 자료형

3. 리스트 자료형

4. 튜플 자료형

5. 딕셔너리 자료형

6. 집합 자료형

+로 자료형들의 특징, 저장공간의 특징등을 블로그에 정리할 예정입니다.

'프로그래밍 > Pyth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Python] 기본자료형 (숫자형)  (0) 2016.04.20
[Python] Linux(우분투) Python 설치  (0) 2016.04.19
[Python] Python 철학  (0) 2016.04.13
[Python] Python IDE 소개 및 개발 환경  (0) 2016.04.10
[Python] Python 설치하기  (0) 2016.04.08

Python 철학

본격적으로 설명 나가기전에, 왜 Python인가 하는 의문을 가지는 사람도 있을것입니다.

사실 저도 Python을 접하기전에 "왜?" 가 제일 궁금했었습니다.

아래와 같이 "import this" 입력하면 파이썬 철학이 출렵됩니다.


저런 철학적 이유 때문에 Python을 사용하는거겠죠.


>> import this

//출력결과
The Zen of Python, by Tim Peters

Beautiful is better than ugly.
Explicit is better than implicit.
Simple is better than complex.
Complex is better than complicated.
Flat is better than nested.
Sparse is better than dense.
Readability counts.
Special cases aren't special enough to break the rules.
Although practicality beats purity.
Errors should never pass silently.
Unless explicitly silenced.
In the face of ambiguity, refuse the temptation to guess.
There should be one-- and preferably only one --obvious way to do it.
Although that way may not be obvious at first unless you're Dutch.
Now is better than never.
Although never is often better than *right* now.
If the implementation is hard to explain, it's a bad idea.
If the implementation is easy to explain, it may be a good idea.
Namespaces are one honking great idea -- let's do more of those!






'프로그래밍 > Pyth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Python] Linux(우분투) Python 설치  (0) 2016.04.19
[Python] 기본 자료형이란?  (0) 2016.04.13
[Python] Python IDE 소개 및 개발 환경  (0) 2016.04.10
[Python] Python 설치하기  (0) 2016.04.08
[Python] Python 이란?  (0) 2016.04.04

Jetbrain 프로그램 무료로 사용하기


학생 email 주소가 있으면 가능합니다. 기본적으로 ***.ac.kr 이면 가능한거죠.


정말 생산성을 엄청나게 올려주는 프로그램들입니다.


기본적으로 1년 사용 가능하며, 1년후 재인증 하면 됩니다.




Link : https://www.jetbrains.com/student/

'프로그래밍 > 기타' 카테고리의 다른 글

[PowerMockup] PowerMockup이란?  (0) 2016.05.10
[VMware] 파일 공유 및 복사  (0) 2016.04.26
Visual Studio 버전  (0) 2016.04.18

2016년 5월 영주권 문호

(2015년 4월 12일 발표)


가족초청 case


제가 기다리고 있는 F2A는 고작 1주 진전이지만, 항상 보면 워낙 한달에 몇달이 줄어들기도 하니깐요.

Family-
Sponsored 
All Chargeability 
Areas Except
Those Listed
CHINA-mainland 
born
INDIAMEXICOPHILIPPINES 
F122NOV0822NOV0822NOV08 08FEB9501OCT04
F2A01NOV1401NOV1401NOV1415AUG14 01NOV14
F2B01SEP0901SEP0901SEP0908SEP9501MAY05
F301DEC0401DEC0401DEC0408OCT9422JAN94
F422JUL0322JUL0322JUL0308APR9701OCT92

취업비자 case
Employ-
ment
based
All Charge-
ability 
Areas Except
Those Listed
CHINA-
mainland 
born
EL SALVADOR
GUATEMALA
HONDURAS
INDIAMEXICOPHILIPPINES
1stCCCCCC
2ndC01SEP12C22NOV08CC
3rd15FEB1615AUG1315FEB1601SEP0415FEB1608AUG08
Other Workers15FEB1622APR0715FEB1601SEP0415FEB1608AUG08
4thCC01JAN10CCC
Certain Religious WorkersCC01JAN10CCC
5th
Non-Regional
Center
(C5 and T5)
C08FEB14CCCC
5th
Regional
Center
(I5 and R5)
C08FEB14CCCC




SSH를 root로 접속하기


참고로 이전 post인 root 계정 활성화가 되어있어야 합니다.


일단 바로 접속하거나, putty같은 프로그램으로 pi로 접속합니다.

아래 명령어로 설정을 변경할 것입니다.


# vi /etc/ssh/sshd_config


아래와 같이 PermitRootLogin without-password 를 #으로 주석처리하고, PermitRootLogin yes 를 입력합니다.

# Authentication:
LoginGraceTime 120
#PermitRootLogin without-password
PermitRootLogin yes
StrictModes yes


새롭게 접속하거나, 아래 명령어로 재시작 합니다.


# service sshd restart


라즈베리 파이 무선랜 연결하기


1. 연결된 무선 Wlan 확인하기

  (1) 모니터 모양을 클릭해서 Terminal 띄우기


  (2) "lsusb" 입력하면, 연결된 장비들이 나옵니다.

       -> 저의 경우에는 Edimax 의 Wireless Adapter가 나옵니다.




  (3-1) WLAN 설정을 확인하기 위해서 "ifconfig" 명령어를 입력합니다.

       -> 설정이 제대도 되어있지 않네요, 설정을 다시 해야합니다.




  (3-2) WLAN 설정을 확인하기 위해서 "iwconfig" 명령어를 입력합니다.

       -> wlan0가 아무 내용도 없으면 무선랜이 인식이 되지 않은것입니다.

       -> 이유로는 드라이버 문제 or 동글 접촉 불량등 다양합니다.


  정상적으로 되어있다면 아래와 같이 나와야 합니다.

  

wlan           unassociated Nickname:"....."
              ..........................................
lo             no wireless extensions.
eth0           no wireless extensions.


  (4) 주변공유기 검색

       "iwlist wlan0 scan" 입력합니다.

      아래와 같이 Cell 01~0X까지 주변 CELL을 스캔하여 정보를 검색합니다.

      당연히 설정하고자 하는 AP도 검색이 되어야 겠죠.


          Cell 01 - Address: D0:66:7B:08:D6:08
                    ESSID:"SEC Linkshare_da264b"
                    Protocol:IEEE 802.11bgn
                    Mode:Master
                    Frequency:2.437 GHz (Channel 6)
                    Encryption key:on
                    Bit Rates:54 Mb/s
                    Quality=64/100  Signal level=7/100
          Cell 02 - Address: 00:30:0D:4E:75:46
                    ESSID:"chan"
                    Protocol:IEEE 802.11bg
                    Mode:Master
                    Frequency:2.437 GHz (Channel 6)



2. 인증설정


$su Password: <- 비밀번호 입력 root@raspberrypi# wpa_passphrase SSID_NAME SSID_PASSWORD >> /etc/wpa_supplicant/wpa_supplicant.conf


SSID_NAME는 AP의 이름, SSID_PASSWORD에는 비밀번호를 입력합니다.

이렇게 명령어를 입력하면 /etc/wpa_supplicant/wpa_supplicant.conf 파일에 입력됩니다.


해당 파일을 한번 보겠습니다.


root# nano /etc/wpa_supplicant/wpa_supplicant.conf


아래와 같이 파일의 내용을 볼 수 있습니다.

country=GB
ctrl~~~~~
update_config=1
network={
             ssid="SSID_NAME"
             #psk="SSID_PASSWORD"
             psk=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
}


다시 무선랜을 재 시작합니다.

$ sudo ifdown wlan0
$ sudo ifup wlan0


3. 네트워크 설정


위 2번까지 설정하면 네트워크가 가능한 경우도 있습니다.

먼저 Web browser를 한번 해보시기 바랍니다.


안된다면, network 설정을 한번 봅시다.


root# nano /etc/network/interface


아래와 같이 파일 내용을 하면 됩니다.


auto lo
iface lo inet loopback

iface eth0 inet manual

allow-hotplug wlan0
iface wlan0 inet manual
wpa-conf /etc/wpa_supplicant/wpa_supplicant.conf



iface wlan0 inet manual 또는 iface wlan0 inet dhcp 로 설정합니다.

(manual 또는 dhcp설정에 따라 다르게 입력하시면 됩니다.)


네트워크 서비스 재시작하고,


sudo service networking restart


"ifconfig" 로 상태를 다시 확인합시다.


ifconfig


wlan0 의 inet addr 항목에 IP address를 제대로 할당되었는지 확인하세요.


root 계정 활성화 하기



Raspberry Pi는 기본적으로 root가 비활성화 되어있음.


root계정 활성화를 위해, 아래 명령어를 입력합니다.


pi@raspberrypi:~ $ sudo passwd root


이후 화면에서 비밀번호를 2번 입력합니다.

2015년 영주권 통계


2015년 영주권 통계입니다.

2011년 부터 2015년 영주권 관련 통계들입니다.


Family Sponsored Preference / Employment-Based Preference 숫자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습니다.



+ Recent posts